본문 바로가기

서울2

서울에 오피스가 부족하다는데, 나도 소형 오피스 분양 받아서 임대 놓을까 하시는 분? (feat. 통계의 함정) 올해들어 서울에 오피스 부족.. 공실률 하락.. 임대료 상승.. 이런 내용의 기사가 종종 보이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혹은 위드 코로나 시대로 접어들면서 재택근무를 끝내고 사무실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임대 수요가 살아나면서 오피스 공실률은 하락하고 임대료는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기사를 분양업계에서 종종 써먹고 있다. 지식산업센터나 섹션오피스처럼 전용면적 기준으로 5~10평 혹은 좀 크게 20~30평 정도의 상품을 팔면서 '서울에 오피스 임대 수요는 많은데 매물이 부족하니까, 이거 분양 받아서 임대주면 월세 높게 받을 수 있다'가 주요 브리핑 내용이다. 하지만 월세수입이라는 달콤한 말에 덜커덕 넘어가기 전에 한 번 더 확인해봐야 한다. 서울에 부족하다는 오피스가 어떤 오피스인지. 강남이나.. 2023. 8. 9.
거래량이 증가하면 가격도 상승할까? (feat. 서울 아파트) 요즘들어 거래량이 늘면서 부동산 시장 회복세를 기대한다는 기사가 종종 보인다. 과연 아파트 거래량과 매매가는 인과관계가 있을까? 거래량이 증가하면 매매가도 오를까? 우선 언급해야 할 점은 부동산 시장은 워낙 많은 변수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거래량’ 딱 하나만 꼽아서 가격 변화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국민소득, 금리, 주식시장, 정부정책, 개발호재, 교통 인프라, 심리 등 정량적/정성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 부동산 시장이다. 그래도, 가볍게 통계자료만 놓고 비교해봤다. 지역은 서울로 한정했고, 기간은 실거래 신고를 의무화하기 시작한 2006년 1월부터 가장 최근인 2023년 3월까지. 실거래 데이터 출처는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이고, 계약일 기준으로 집계한 자료다. 가격지수는.. 2023. 4.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