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점2 지역주택조합...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원수에게나 권한다는 지역주택조합. 수식어 하나만으로 느낌이 빡 온다. 가입하는 순간 인생 난이도 올라간다는걸. 하지만 지주택도 어떤 연유에서건 제도로 마련되었고, 실제 성공하는 경우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지주택이란 무엇인가 하지만 지주택이 순탄하게 흘러가기 어려운 이유는, 바로 내가 수분양자가 되는게 아니라 사업시행자가 되기 때문이다. 지역주택조합은 일정지역에 거주하는 다수의 구성원이 주택 마련을 위한 조합을 결성하고, 조합이 주체가 되어 주택을 건설·공급받는 제도다. 따라서, 지주택에 가입하면 조합원이 되는 것이고, 조합의 일원이 되어 사업시행자로서 직접 토지를 매입하고 건축비용 등을 부담해서 등록사업자와 공동으로 사업을 시행해야 하는 것이다. 분양을 받으면 그냥 중도금 내고 잔금 내면 시행사와 .. 2023. 8. 3. 왜 우리나라에서 부동산 PF 부실이 유난히 문제일까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금리가 오르면서 부동산 시장은 조정기를 맞았고, 이로 인해 여러 경제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유독 우리나라에서 부동산 PF 부실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다른 나라와 어떤 점이 달라서 그런걸까? * PF : Project Financing, 특정 프로젝트의 사업성과 미래 현금흐름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 기법 시행사의 자금력 부족 우선, 부동산 개발 과정을 살펴봐야 한다. 토지매입과 인허가 단계, 개발·분양을 시작하는 시공단계, 마지막으로 준공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부동산개발업자로 등록하고 개발을 할 수 있는데, 이 때 총 사업금의 5~10% 수준으로 토지를 매입한다. 아파트 개발 사업을 예로 들면, 시행사가 10% 정도를 출자해 초기 사업비와 .. 2023. 7. 31. 이전 1 다음 728x90